“다양성 정책 포기하라”는 요구 거부한 하버드에 초강수
미국 교육부가 하버드대학교에 대한 22억 달러(약 3조 원) 규모의 연방 자금 지원을 전격 동결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하버드대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근절 압박에 반기를 들고, 정부의 요구를 거부한 직후 단행되었습니다.
교육부 산하 반유대주의 대응 태스크포스는 성명을 통해 “하버드대에 대한 다년간의 보조금 22억 달러와 6천만 달러 상당의 계약금 지급을 동결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대학들이 극좌 세력에 장악됐다고 비판하며 대학들과의 갈등을 한층 격화시키는 계기가 됐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대학가에 “정부 뜻에 따르지 않으면 대학에 대한 연방 정부 지원금을 삭감하고, 반이스라엘 성향을 보이는 학생들을 무차별적으로 잡아가겠다”며 압박을 가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행정부는 친팔레스타인 시위에 참여한 외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추방 절차를 시작했고, 수백 명의 학생 비자도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부는 이미 하버드와 그 계열사에 급된 약 90억 달러(약 13조2660억 원) 규모의 연방 계약과 보조금을 재검토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 정부의 요구에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마스크 착용 금지와 다양성·평등·포용(DEI) 프로그램 폐지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버드대는 “연방 자금 지원을 받으려면 다양성 정책을 중단하고, 교수와 학생의 지적 자유를 억압하는 조치를 취하라”는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를 공식적으로 거부했습니다.
이에 하버드대 교수들은 연방 재정지원 삭감 위협을 학문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 침해 사례로 간주하면서 정부를 상대로 제소했습니다.
하버드대 교수 600여 명은 연판장을 통해 “미 대학에 대한 지속적인 공격은 표현, 결사, 탐구의 자유를 포함한 민주주의 사회의 기본 원칙을 위협하고 있다”며 “학문적 자유와 대학 자치권을 위협하는 불법적인 요구에 대해 법적으로 다투고, 따르기를 거부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갈등은 미국 사회 전반에 걸쳐 트럼프 행정부의 권위주의적 행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벌어지고 있어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학문의 자유와 정부 권한 사이의 균형에 관한 중요한 선례를 만들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