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섬 주지사 ..”국제 무역 파트너들에 가주 보복 관세에서 면제토록 설득하는 방안 모색 ”
주정부가 예외 만들수 있는지는 불투명
트럼프 대통령의 광범위한 관세 조치로 미국과 글로벌 금융시장이 급락한 가운데 , 개빈 뉴섬 주지사가 4일, 캘리포니아주가 앞으로 무역을 확대하고 국제 파트너들에게 보복관세에서 캘리포니아주는 면제하도록 설득하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발표해 주목됩니다.
뉴섬 주지사는 4일, 소셜 미디어 X에 게시한 동영상에서 인구수가 4천만명에 달하는 캘리포니아주의 경제 규모가 미국 전체 GDP의 14%를 차지하는등 전국 경제의 주축이라면서 이같이 언급했습니다.
뉴섬 주지사는 주 행정부 지도급에 관세조치로 글로벌 무역 전쟁이 촉발된 현 상황에서도 무역 확대를 위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전 세계 무역 파트너들에게 캘리포니아가 안정적인 파트너로 남아 있음을 상기시키도록 지시했다고 밝혔습니다.
주지사는 보도 자료에서 캘리포니아는 워싱턴 D.C.가 아니라며 캘리포니아주는 연방 정부의 조처로 인한 격변에 관계없이 앞으로 수 세대 동안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무역 파트너로 남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캘리포니아주는 전국에서 가장 큰 경제 규모로 특히 제조업과 농업 분야에서 미국을 선도하고 있으며, 관세는 가주의 기술 산업부터 항만까지 주 경제의 많은 부문에 큰 타격을 주게 됩니다
하지만 뉴섬 주지사가 가주를 보복 관세에서 면제시키려는 노력이 어떻게 이뤄질 것인지, 또 주 정부가 그런 예외를 만들 수 있는지 불분명합니다.
뉴섬 주지사 사무실측은 국가들이 보복 관세를 형성하고 대상으로 삼는 데 폭넓은 재량권을 갖고 있다는 주장입니다
이날 보도 자료에서 뉴섬 주지사 사무실은 캘리포니아주의 제조업체와 기업, 근로자들의 경제적 이익과 가주 경제와 연결된 더 넓은 공급망을 보호하는 글로벌 무역 파트너와의 협력 기회를 추구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주지사 사무실은 행정부는 국경 간 무역에 의존하는 산업에서 일자리 창출과 혁신을 지원하고, 연방 무역 혼란의 영향을 받는 기업과 근로자를 위한 경제적 안정을 촉진하며, 엘에이의 대형 산불 이후 복구 노력에 필요한 건설 자재와 같은 중요한 물품에 대한 접근을 보호하는 방법을 모색할 것이라고 합니다.
뉴섬 주지사의 이같은 행보에 백악관은 뉴섬 주지사가 별도로 국제적 거래를 시도하는 대신 가주의 통제 불능한 노숙자, 범죄문제 , 치솟은 물가에 집중해야 한다고 맞섰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관세조처는 캘리포니아의 주요 무역 파트너에 큰 타격을 주었습니다.
한국에 25퍼센트 ,일본에 24%, 중국에 34%의 추가 관세가 포함됩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상호” 관세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에 국내 식료품점에서 관세로 인한 영향을 다소 완화할 수 있습니다. 미국 농산물 수입의 대부분은 아보카도, 오이, 버섯을 포함하여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캐나다와 멕시코는 여전히 특정 상품에 대해 25%의 관세와 수입 자동차와 경트럭에 대해 25%의 관세에 직면해 있습니다.
경제 학자들은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캘리포니아 전역의 제조업과 공급망에 엄청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라디오 서울 정 연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