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제조업 부흥 vs 소비자 부담 증가… 공화당 내 균열 선명히 드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선언한 ‘해방의 날’ 관세 정책에 대해 공화당 내부에서 의미 있는 반발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거의 모든 국가로부터의 수입품에 10%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주요 무역 파트너국에는 ‘상호주의적’ 관세를 적용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발표에 대응해 공화당 내 주요 인사들은 이례적으로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마이크 펜스 전 부통령은 이 관세 정책을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평시 세금 인상”이라고 비판했으며, 미국 가정에 연간 3,500달러 이상의 추가 부담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상원에서는 실질적인 반대 움직임도 나타났습니다. 수잔 콜린스, 미치 매코널, 리사 머카우스키, 랜드 폴 등 4명의 공화당 상원의원이 민주당과 함께 트럼프의 캐나다 관세 관련 비상사태 선언을 종료하는 결의안에 찬성표를 던졌습니다.
특히 랜드 폴 의원은 “관세는 가격을 올리고 경제에 해롭다”며 강경하게 반대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경제학자들은 이 정책이 미국 경제를 침체로 몰아넣고 결국 소비자들에게 더 큰 부담을 안길 것이라는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수잔 콜린스 의원이 지적했듯이 “식료품점, 주유소, 난방유 탱크를 채울 때마다 가격 상승이 발생할 것”이며, 특히 “가장 취약한 계층에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관세 정책이 국내 제조업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무역의 공정성을 회복할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앞으로 공화당 내부의 균열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