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비오 국무장관의 행동 구설수..
종교를 이용한 정치행위라는 해석
트럼프 행정부의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이 이마에 재로 십자가를 그린 채 공식 방송에 출연하여 논란이 일고 있다.
루비오 장관은 지난 5일 폭스뉴스에 출연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관련 미국 정부 입장을 설명하는 자리에서 이마에 검은색 십자가를 그린 채 등장했다. 이에 대해 그는 가톨릭의 ‘사순시기’가 시작되는 ‘재의 수요일’ 전통을 따른 것이라고 해명했다.
쿠바 출신 가톨릭 신자인 루비오는 “오늘은 재의 수요일, 참회와 겸손의 날”이라며 “미국과 전 세계 수백만 가톨릭 신자들에게 이날은 우리의 나약함과 선행의 필요성을 되새기는 신앙의 날”이라고 강조했다.
사순시기는 40일 동안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며 부활절을 준비하는 기간으로, 첫날인 재의 수요일에는 종려나무잎을 태운 재를 이마에 바르고 죄를 고백하는 전통이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고위 공직자가 종교적 상징을 공개 석상에서 드러낸 것은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 수정헌법 1조는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면서도 ‘정치와 종교의 분리’를 규정한다는 해석이 많다.
스페인 소재 쿠바 독립언론 ‘시베르쿠바’는 “세속적 기구들은 신앙은 개인적 문제이며, 정부 당국자가 종교적 상징을 내보이는 것은 해당 종교 신자들의 표심을 얻기 위한 정치적 전략으로 해석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