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미국 우선주의” 경제·외교 정책 강화 예고
베센트 미 재무장관 “동맹국도 경제적 압박 가능”…러시아·이란에 ‘올인’ 제재 경고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6일(현지시간) 뉴욕경제클럽 연설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미국 우선’ 경제·외교 정책 기조를 천명했다.
베센트 장관은 “저렴한 상품에 대한 접근은 ‘아메리칸 드림’의 본질이 아니다”라며 “다른 국가의 관행이 미국 경제와 국민에 해를 끼치는 한 미국은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동맹국들의 국방비 지출 확대를 촉구하며 “더는 미국의 세금과 미국의 군사 장비, 때론 미국인의 생명이 우호적 무역과 상호 안보를 유지하는 유일한 부담자가 돼선 안 된다”고 밝혔다. 이는 NATO 회원국뿐 아니라 한국, 일본 등 미국의 안보 지원을 받는 국가들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러시아에 대해서는 “평화 협상에서 지렛대를 제공할 수 있다면 ‘올인’ 전략을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며 강화된 제재를 예고했다. 베센트 장관은 바이든 행정부가 러시아 에너지에 약한 제재를 가한 것이 전쟁 장기화의 원인이라고 비판했다.
이란에 대해서도 “이란의 석유 산업과 드론 제조 시설을 문 닫게 할 것”이라며 “‘이란을 다시 무너뜨리는 것’은 우리의 새로운 제재 정책의 시작”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것이란 우려에 대해선 “일회성 가격 조정에 불과하다”며 일축했다. 또한 보완적 레버리지 비율(SLR) 등 은행 규제 완화 방침을 시사하며, 금융안정감독위원회(FSOC)를 통해 은행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규제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베센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에 금리 인하를 요구하는 발언을 중단했다”며 “우리는 10년 만기 국채 금리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