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이래 처음으로 영어를 공식 언어로 하는 행정명령 서명..
연방 정부 및 연방 기금을 지원받는 기관이 비영어 사용자에게 제공하던 언어 지원 의무가 사라져
[워싱턴 DC] 3월 1일 –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토요일, 영어를 미국의 공식 언어로 지정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는 250년 역사의 미국에서 처음 있는 일로, 다언어 사회에서 언어 정책에 대한 중대한 변화로 평가된다.
행정명령 주요 내용
- 해당 명령은 미국의 건국 이래 영어가 국가 언어로 사용되어 왔으며, 독립선언서와 헌법 등 주요 문서들이 영어로 작성되었음을 강조한다.
- 트럼프 전 대통령은 “공유된 언어는 통합된 사회의 핵심”이라며, 영어 사용이 미국 시민들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국가 결속력 강화를 촉진한다고 주장했다.
- 이 행정명령은 2000년 빌 클린턴 행정부 시절 제정된 연방 명령을 폐지하며, 이에 따라 연방 정부 및 연방 기금을 지원받는 기관이 비영어 사용자에게 제공하던 언어 지원 의무가 사라지게 된다.
배경과 파장
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근 보수정치행동회의(CPAC) 연설에서 미국 내 다국어 사용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번 행정명령은 그 입장을 정책으로 구체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는 그의 두 번째 임기 시작 이후 70개 이상의 행정명령 중 하나로, 최근 발표된 새로운 이민 정책과도 맞물려 있다.
특히, 새로운 이민 정책에는 기존의 영주권(그린카드) 제도를 대체할 가능성이 있는 500만 달러짜리 ‘골드 카드’ 판매 계획이 포함되어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논란과 전망
이번 조치는 미국 내 다양한 언어 커뮤니티와 이민자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반대 진영에서는 언어적 다양성을 축소하고, 비영어권 시민들의 공공 서비스 접근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반면, 지지자들은 미국 사회의 통합과 효율적인 행정을 위한 필수적인 조치라고 평가하고 있다.
향후 이 명령이 법적 논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되는 가운데, 미국 사회 내 언어 정책과 이민 문제를 둘러싼 논의는 더욱 가열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