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4일 미국 워싱턴 D.C. – 민주당 의원들과 시위대가 미 재무부 앞에서 집회를 열고 일론 머스크가 정부의 민감한 금융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에 대해 강력히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이번 시위는 머스크가 이끄는 ‘정부 효율성 부서(DOGE)’가 연방 결제 시스템에 대한 ‘읽기 전용’ 접근 권한을 부여받았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촉발되었다. 이는 개인정보 유출 위험뿐만 아니라, 선출되지 않은 민간인이 정부 운영에 과도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엘리자베스 워렌 “머스크에게 권한 준 적 없다”
이날 집회에서 **엘리자베스 워렌(매사추세츠주 상원의원)**은 연설을 통해,
“우리는 일론 머스크에게 어떠한 권한도 부여한 적이 없습니다. 하지만 그는 마치 자신의 권력인 양 정부 시스템을 장악하려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에 맞서 싸울 것입니다. 더 이상은 그냥 넘어갈 수 없습니다.”
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워렌 의원은 특히 머스크가 연방 결제 시스템을 통제함으로써 사회보장 연금이나 의료비 지원금 지급을 특정 기준에 따라 제한할 수도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맥신 워터스(캘리포니아주 하원의원)**와 **재스민 크로켓(텍사스주 하원의원)**도 시위에 참석해 머스크의 영향력을 견제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공화당 “과민 반응” 반박…정책 변화 가능성은?
반면,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공화당)**은 머스크의 역할을 옹호하며,
“행정부는 세금이 올바르게 사용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기관을 평가할 권한이 있습니다. 민주당의 반응은 지나친 과장입니다.”
라고 반박했다.
현재로서는 공화당이 머스크의 연방 정부 개입을 지지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즉각적인 정책 변화 가능성은 낮다. 하지만 이번 시위가 향후 청문회 개최나 법적 대응으로 이어질 경우, 머스크의 역할이 조정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여론 향방이 관건…시위가 영향 미칠까?
이번 시위가 실제 정책 변화로 이어질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여론 압박 증가 – 대중의 반응이 거세지면, 정치권도 대응하지 않을 수 없다.
- 정치적 레버리지 – 민주당이 이 문제를 선거 이슈로 삼아 압박을 가할 수도 있다.
- 법적 대응 가능성 – 머스크의 연방 결제 시스템 접근이 법적으로 문제가 될 경우 소송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머스크의 정부 개입을 둘러싼 논란이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 주목된다.
1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