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2019년 ‘한반도 운전자론’ 때와 달리
트럼프식 ‘톱다운 외교’에 한국 배제 가능성
‘트럼프 2기’ 정부가 북미대화를 재개할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한국 패싱’ 우려가 커지고 있다. 북한이 파병을 통해 러시아와 전례 없이 밀착한 반면 남북관계는 ‘적대국가’로 단절된 상황에서, 미국마저 북한과 직거래에 나서면 한국은 대북 지렛대를 모두 잃는다. 실패로 끝나기는 했지만 ‘한반도 운전자’를 자처하던 문재인 정부 때보다 상황이 훨씬 심각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로이터 통신은 26일(현지시간) “트럼프의 정권 인수팀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직접 대화 추진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이 아직 두 달 남은 시점에 벌써 북미대화를 언급한 것이다. 트럼프 1기 정부 시절 2018년 6월 싱가포르에서 북미 정상이 최초로 만나기까지 정권 출범 후 1년 5개월이 걸렸다. 그때와 비교하면 상당히 빠른 속도다. 당시와 달리 상·하원을 모두 공화당이 장악한데다 트럼프가 이미 김정은을 경험해봤다는 자신감이 더해졌다. 트럼프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연동된 북한 문제를 속전속결로 해결해 외교 성과를 내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트럼프 2기’ 정부가 북미대화를 재개할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한국 패싱’ 우려가 커지고 있다. 북한이 파병을 통해 러시아와 전례 없이 밀착한 반면 남북관계는 ‘적대국가’로 단절된 상황에서, 미국마저 북한과 직거래에 나서면 한국은 대북 지렛대를 모두 잃는다. 실패로 끝나기는 했지만 ‘한반도 운전자’를 자처하던 문재인 정부 때보다 상황이 훨씬 심각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로이터 통신은 26일(현지시간) “트럼프의 정권 인수팀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직접 대화 추진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이 아직 두 달 남은 시점에 벌써 북미대화를 언급한 것이다. 트럼프 1기 정부 시절 2018년 6월 싱가포르에서 북미 정상이 최초로 만나기까지 정권 출범 후 1년 5개월이 걸렸다. 그때와 비교하면 상당히 빠른 속도다. 당시와 달리 상·하원을 모두 공화당이 장악한데다 트럼프가 이미 김정은을 경험해봤다는 자신감이 더해졌다. 트럼프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연동된 북한 문제를 속전속결로 해결해 외교 성과를 내려는 의도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