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 갈등 해소와 의정갈등 중재등 산적한 난제 해결 시급..
7·23 전당대회로 집권 여당의 지휘봉을 다시 거머쥔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23일 취임 두 달을 맞는다. 4·10 총선 참패의 책임을 지고 비상대책위원장에서 물러난 지 석 달여 만에 조기 복귀한 한 대표는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등 ‘중수청(중도층·수도권·청년)’을 겨냥한 민생 이슈 발굴을 주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취임 때부터 우려된 껄끄러운 당정 관계가 지속되는 데다 지지율마저 동반 하락하고 있어 의정 갈등 중재 등 가시적 성과 도출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당 대표 취임 후 두 달 만에 이뤄지는 24일 윤석열 대통령과의 만찬 회동을 통해 산적한 정국 현안의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한 대표는 7월 전당대회에서 62.84%라는 압도적 득표율로 당선된 직후 “민심과 국민의 눈높이에 더 반응하겠다”고 밝혔다. 실제 그는 취임과 동시에 이른바 ‘중수청’ 외연 확장을 위한 민생 정책 드라이브를 강하게 걸었다. 금투세 폐지와 반도체 특별법 당론 발의,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 대책 논의 등이 대표적이다. 당내 격차해소특위와 수도권특위도 잇따라 출범시켰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금투세 도입을 밀어붙인 거대 야당이 시행 여부를 놓고 당내 토론회를 여는 것 자체가 소수 여당이 민생 이슈를 주도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평가했다.
한 대표는 “안보도 민생”이라며 간첩죄 적용 범위 확대와 국정원 대공수사권 부활도 함께 추진하며 전통 지지층 결집에도 힘썼다. 당초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사법 리스크’ 공세에 전투력을 집중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정쟁을 지양하는 대신 11년 만의 여야 대표 회담을 성사시키는 등 실용적 정치에 주안점을 뒀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하지만 각종 현안을 두고 대통령실과 번번이 이견을 노출하며 당정 지지율이 동반 하락하고 있는 점은 한 대표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이다. ‘친윤(친윤석열)’계 의원은 “미래 권력으로서 현직 대통령과의 차별화 의지와 여당 대표로서 당을 이끌어가야 하는 입장 사이에 간극이 있는 것 같다”며 “대통령과 번번이 불협화음을 드러내고 있는 만큼 당정 소통에서는 낙제점을 줄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거대 야당이 ‘김건희 특검법’과 ‘채 상병 특검법’ 등 정권을 겨냥한 특검법들을 잇따라 단독 처리하며 파상공세에 나서고 있는 점도 한 대표의 정치력을 시험대 위에 올리고 있다. 총선 참패 이후 6개월 만에 치러지는 10·16 재보궐선거를 승리로 이끌어야 하는 중책도 한 대표의 또 다른 과제다.
당 안팎에서는 취임 두 달을 맞은 한 대표가 답보 상태에 빠진 여당 지지율을 끌어올리고 정국 주도권을 쥐기 위해서는 이제 가시적 성과로 증명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한 대표가 공언한 여야의정 협의체 출범과 의정 갈등 중재 여부에 따라 정치적 입지가 좌우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당장 24일로 예정된 윤 대통령과의 만찬 회동은 의료 개혁과 쌍특검법 등 직면한 현안의 돌파구를 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회동을 계기로 당정이 의료계를 설득해 의정 갈등의 해법을 마련하는 물꼬를 튼다면 한 대표는 정치력을 인정받을 수 있게 된다.
한 대표는 만찬에 앞서 윤 대통령과의 독대를 요청하고 대통령실의 회신을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과의 독대를 통해 의정 갈등 해소를 위한 정부의 ‘통 큰 협조’를 얻어내겠다는 구상이다. 독대가 성사되면 당정 관계 회복의 신호탄이 될 수 있지만 독대가 불발될 경우 두 달 만에 성사된 만찬 회동의 의미가 퇴색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또 만찬 테이블에 올라갈 의제를 놓고도 여당은 의정 갈등 해법이 우선인 반면 대통령실은 체코 순방 성과를 강조하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어 빈손 회동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