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자동차 산업 격변…中 업체들 부상에 폭스바겐 등 위기”

폭스바겐 자동차[로이터]

CNN 분석…중국 시장에서 외국 브랜드 점유율 대폭 하락

테슬라 진출 뒤 中 전기차 전환 가속…비야디 등 세계시장 넘봐

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부상으로 세계 자동차 산업이 격변기를 맞고 있다고 CNN 방송이 4일 진단했다.

CNN은 이날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이 중국에서 누렸던 황금기가 끝났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중국 내 자동차 판매 부진이 최근 독일 폭스바겐의 수익 악화와 구조조정을 야기한 주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폭스바겐의 중국 내 판매량은 134만대로, 3년 전과 비교해 25% 이상 줄었다. 재작년까지만 해도 중국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차 브랜드였던 폭스바겐은 지난해 그 타이틀을 중국 업체인 비야디(BYD)에 내줬다.

중국에서 내리막길을 걷는 외국 자동차 브랜드는 폭스바겐뿐만이 아니다.

중국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CPCA)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외국 업체들의 합계 점유율은 33%로, 2년 전의 53%와 비교해 큰 폭(20% 포인트)으로 떨어졌다.

이런 판매 부진에 따라 중국에 진출한 외국 자동차 업체들의 수익도 악화했다.

도요타의 중국 합작사가 지난 분기 기록한 수익은 1년 전보다 73% 급감했다.

제너럴모터스(GM)의 중국 합작사도 올해 2개 분기 연속으로 적자를 기록했다.

메리 바라 GM CEO는 최근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애널리스트들에게 “중국에서 돈을 벌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지난해 10월 일본 미쓰비시자동차가 수년간의 판매 감소에 따라 중국 합작사의 생산을 종료한다고 발표한 것을 비롯해 혼다와 현대차, 포드도 공장 폐쇄나 정리해고 등을 단행했다고 CNN은 전했다.

이 매체는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가 중국에 진출한 뒤 이런 변화가 촉발됐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은 2000년대 초반부터 약 20년간 중국 시장의 급성장으로 호시절을 누렸으나, 테슬라가 2019년 말 중국에서 전기차 생산을 시작하고 그 직후 코로나19 팬데믹이 덮치면서 중국 자동차 시장의 전기차 전환에 불을 댕겼다는 것이다.

전기차 전문 컨설팅 회사 던 인사이트의 CEO 마이클 던은 “테슬라가 상하이에서 모델3을 생산하면서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점이 바뀌었다”며 “이것은 기념비적인 전환”이라고 설명했다.

테슬라의 ‘쿨’한 이미지는 중국 소비자들의 전기차 수요를 달궜고, 자국의 전기차 후발업체인 비야디와 네오, 리 오토 등에 ‘후광 효과’를 가져다줬다는 것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4년 전만 해도 110만대에 불과했던 중국 내 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 모델 판매량이 올해 1천만대를 돌파하며 중국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거의 절반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소비층의 세대교체도 자국 브랜드의 약진을 부추긴 것으로 분석된다.

자동차 컨설팅 회사 시노 오토 인사이츠의 투 리 전무이사는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자동차를 구입한 부모 세대는 중국 브랜드를 신뢰하지 않았다”며 “하지만 지금 시장을 주도하는 것은 그 자녀들, 알리바바(중국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물건을 사고 위챗(중국 소셜미디어)을 이용하며 자란 세대로 중국 브랜드를 구매하는 것에 부정적인 인식이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코로나19로 2020년부터 수년간 중국이 봉쇄된 탓에 외국 자동차업체 경영진이 중국을 방문해 현지 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워진 사이에 중국 전기차업체들은 기술과 생산 속도, 공급망 관리 등 모든 면을 급격히 개선하며 자국 시장을 차지했다.

이제 중국 전기차업체들은 자국 내 성공에 만족하지 않고 세계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지난해 중국의 승용차 수출량은 전년 대비 60% 넘게 급증해 400만대를 돌파했다.

비야디는 지난해 전 세계에서 302만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62% 성장했다.

글로벌 금융기업 UBS는 2030년까지 중국 업체의 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이 약 3분의 1에 도달하고, 그에 따라 유럽 자동차업체들이 가장 큰 손실을 볼 것으로 전망했다.

유럽과 북미의 각국 정부는 관세 인상으로 이에 대응하려 하지만, 이런 정책이 중국 전기차의 공세를 막을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고 CNN은 짚었다.

<연합뉴스>

0
0

TOP 10 NEWS TODAY

오늘 가장 많이 본 뉴스

LATEST TODAY NEWS

오늘의 최신 뉴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시니어 생활

[시니어 라이프] 시니어를 위한 스마트폰 대모험

“손 안의 세상을 정복하세요!” 목차 디지털 세계로의 초대장 안녕하세요, 용감한 모험가님! 이 안내서는 스마트폰이라는 신비한 마법 세계를 탐험하는 시니어 영웅님들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제 소셜 시큐리티,

오피니언 Hot Poll

청취자가 참여하는 뉴스, 당신의 선택은?

최신 뉴스

“비자 취소될까봐… “SNS 없애고 외출·발언 자제하는 미 유학생

트럼프 2기서 기록말소 유학생 최소 4천700건… “다음은 내차례” 공포 비자 취소 이유도 몰라… “정부 명백한 불법”, “미 전역 냉각효과” 지적 ...

베일 벗은 오사카엑스포 한국관…AI·친환경 기술로 미래 체험

‘마음을 모아’ 주제·3개 전시 공간… “’연결’ 메시지 전하고 싶어” "엑스포 한국관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연결입니다. 사람과 사람의 연결, 기술과 사람의 ...

울브스 ‘손흥민 결장’ 토트넘 4-2 완파…라르센 4G 연속 결승골

황희찬 후반 교체 투입…4경기 만에 출전 황희찬이 4경기 만에 교체로 경기를 소화한 울버햄프턴이 손흥민이 결장한 토트넘 홋스퍼를 완파하고 4연승을 내달렸다 ...

박하나, ♥김태술 감독 경질 후..결혼 심경 “긍정적인 성격 닮아”

배우 박하나가 결혼을 앞두고 심경을 손편지 공개 배우 박하나가 결혼을 앞둔 심경을 전했다. 박하나는 12일(한국시간)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제가 세상에서 가장 ...

[속보]”떠날 시간이다”.. 미국 정부, 대규모 강제추방 통보 발송

애리조나주 이민자들, DHS 추방 이메일에 공포와 혼란 확산 애리조나주에 거주하는 수백 명의 이민자들이 미국 국토안보부(DHS)로부터 충격적인 통보를 받았습니다. "미국을 떠날 ...

이동건, 이혼 후 원룸살이 중..딸과 함께 하기 위해 이사 준비

이혼 후 원룸에 살고 있는 이동건이 새집 찾기에 나섰다 배우 조윤희와 이혼 후 원룸에 살고 있는 이동건이 새집 찾기에 나섰다 ...

RFK 주니어의 보건복지부 개편안, ” 개혁”인가 “위험한 실험”인가

"미국을 다시 건강하게(MAHA)" 운동, 전문가들 사이에서 찬반 격돌 워싱턴 D.C. | 정치/보건 | 2025년 4월 13일 미국 보건복지부(HHS)가 역사상 가장 ...

“트럼프의 무대”, UFC 314.. 스포츠를 넘어 정치무대로..

대통령의 화려한 입장에 묻힌 볼카노프스키의 챔피언 벨트... "이것이 우리의 승리" 마이애미 - 2025년 4월 12일, 마이애미 케세야 센터에서 열린 UFC ...

코첼라 페스티벌에 폭탄 위협

40 세 남성 코첼라 페스티벌에 폭탄 위협했다 체포돼 인디오에서 열리는 코첼라 뮤직 페스티벌에 폭탄 위협을 가한 40 대 남성이 체포됐습니다 ...

관세 폭탄에 신음하는 아시안 식료품점들과 잡화점..

125%에 달하는 중국산 제품 관세로 이민자 경제 생태계 무너질 위기 맨해튼의 한 중국 식료품점 매니저 헤이 찬(Hei Chan)씨는 최근 대통령 ...

트럼프 행정부의 강력한 반이민정책 갈수록 심화

합법적 비자 소지자와 인도적 사면 프로그램 이용자까지 추방 위기에 처해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내 이민자에 대한 대대적인 추방 정책을 더욱 ...

패사디나 210번 프리웨이 차량 충돌로 1 명 숨져

일요일인 13 일 패사디나 지역 210번 프리웨이에서 차량과 트럭 충돌 사고로 1 명이 숨졌습니다. 이날 새벽 4 시 15 분, ...

[속보]우크라 북동부에 러 탄도미사일…최소 32명 사망

부활절 일주일 앞 도심에 인파 많아…사상자 늘어날 듯 젤렌스키 "비열한 자들만 민간인 공격"…동맹국도 러 규탄 동참 13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북동부 수미주를 ...

“민주당의 끔찍한 실수 사과한다” 코리 부커의 공개 사과..

민주당 지지자들에게 사과하며 "국민 중심 정책으로 돌아가야" 강력 촉구 "반성 없는 민주당에 신물이 났다" 민주당 지지자들 환호 민주당 코리 부커 ...

캘리포니아 DMV, Real ID 마감일 앞두고 일찍 문열어

5월 7일 마감일 앞두고 일부 사무소 오전 7시부터 문 열어 캘리포니아 차량관리국(DMV)이 5월 7일 Real ID 마감일을 앞두고 아직 신청하지 ...

밸리 레세다지역, 5명 부상 칼부림 사건 ..

경찰 조사 진행 중, 용의자 체포 사건 개요 어제 오후 4시 14분경, 레세다 지역에서 칼부림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처음 신고된 주소는 ...

타겟, DEI 정책 철회 후 10주 연속 매출 하락… “창업 정신 배신” 비판 직면

트럼프 행정부 DEI 폐지 행정명령 이후 기업 정책 대폭 축소, 양측 소비자 불매운동 직격탄 타겟(Target)이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정책을 대폭 축소한 후 ...

상무부, 반도체 관세 체계 개편 발표

상호관세 체계에서 제외됐던 전자제품 새 반도체 관세에 포함될 예정 미국 상무부가 오늘(13일) 상호관세 협정에서 제외됐던 일부 전자제품들이 새로운 반도체 품목 ...

납세의 의무를 지키던 불법 이민자들, 법적 의무 이행에도 추방 위기에 직면

새로운 정부 정책으로 세금 정보가 이민당국과 공유되며 강제추 위험 증가 멕시코 출신 알렉스(27세)는 4년 전 관광 비자로 미국에 입국한 후, ...

트럼프 와 일런 머스크, UFC 314 깜짝 동반 관람 화제

트럼프-머스크 부자, "퍼스트 버디" 우정 과시하며 마이애미 행사장 빛내 2025년 4월 1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마이애미 카세야 센터에서 열린 ...

자연인 윤석열, 14일 ‘내란혐의’ 첫 정식 형사재판…파면 열흘만

지하로 비공개 출석할 듯…법원, '피고인 尹' 법정 촬영 불허 형사법정 서는 다섯번째 전직 대통령…尹 직접 발언 가능성도 비상계엄 사태로 기소된 ...

멕시코, 사상 첫 미국 최대 수입국으로 등극, 중국은 2등으로 밀려..

"북미 통합 경제의 새 시대" - 멕시코, 5천억 달러 수출로 중국 제치다 멕시코가 사상 처음으로 미국의 최대 수입국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

매킬로이 vs 디샘보, 메이저대회 우승 대결

매킬로이, 14년 만에 마스터스 4R 단독 선두로 시작 디보는 LIV 골프 소속 첫 '그린 재킷'에 도전 로리 매킬로이(북아일랜드)와 브라이슨 디섐보(미국)가 ...

“억만장자들의 탐욕은 가장 심각한 중독” – 샌더스, LA 대규모 집회서 강력 비판

오카시오-코르테즈, 조안 바에즈와 함께 3만 6천명 운집... 전설적 음악가들도 대거 참여 미국 버몬트주 무소속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과 뉴욕 민주당 알렉산드리아 ...

하버드 교수진, 트럼프의 90억 달러 연방자금 검토에 법적 반격

"학문적 자유와 대학 독립성 수호" 위해 보스턴 연방법원에 소송 제기 하버드 대학교 교수진이 미국 대학 교수 협회(AAUP)와 함께 트럼프 행정부가 ...

암보다 위험한 병 ‘심부전’

윤종찬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65세 이상 입원 원인 1위 심부전이 차지 주요 암보다 생존율 낮을 정도로 위험 “좌심실 보조장치, 우심실에 ...

올해 마스터스 골프 총상금 2천100만 달러…우승 상금은 420만 달러

남자 골프 시즌 첫 메이저 대회 마스터스 토너먼트의 올해 총상금이 2천100만 달러 남자 골프 시즌 첫 메이저 대회 마스터스 토너먼트의 ...

건강 갉아먹는 주범… 스트레스도 전염된다

스트레스가 옮는 것을 피하는 방법 “원래 스트레스는 포식자 피해 생존 목적 압도될 때 물러서고, 즐거운 활동을 하라” 현재 세계 곳곳에서 ...

미국관광업계 적신호, 트럼프 취임 후 2달만에 관광객 폭락

엘에이 올림픽 등 각종 국제 대회도 걱정 미국 관광산업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불과 2개월 만에 ...

방탄소년단 정국, 스크린도 장악..2024 한국영화 해외 수출작 흥행 ‘톱2’

다큐 ‘정국: 아이 엠 스틸 방탄소년단(BTS) 정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정국: 아이 엠 스틸'이 초특급 글로벌 흥행 성과를 입증했다. 정국 다큐멘터리 ...

경제 • IT

칼럼 • 오피니언

국제

한국

LIFESTYLE

K-NOW

K-NEWS

K-B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