땀이 피부 밖으로 원활하게 나오지 못해 발생

푹푹 찌는 무더위가 이어지는 요즘. 따갑고 가려운 땀띠로 고생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여름철 불청객 땀띠,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리 몸은 온도가 높아지면 땀을 배출해 체온을 조절하죠.

하지만 덥고 습한 환경에 오랜 시간 노출되면 땀구멍의 일부가 막힐 수 있는데요.

이때 땀이 피부 밖으로 원활하게 나오지 못하면 작은 발진과 물집이 생길 수 있는데, 이게 바로 ‘땀띠’입니다.

땀띠는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처럼 피부가 접혀 땀이 쉽게 차는 부위에서 잘 발생하는데요.

아이들은 성인보다 땀샘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피부의 체온조절 능력이 떨어져 땀띠가 더 잘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기저귀를 오래 차고 있는 영유아의 경우 땀띠에 더 취약합니다.

땀띠는 투명한 물방울 모양의 ‘수정 땀띠’가 가장 흔한데요.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 없습니다.

홍지연 중앙대학교병원 피부과 교수는 “피부 각질층에 있는 땀관이 막힐 때 생기는 수정 땀띠는 영아에게 흔하게 나타난다”면서 “보통 가려움증이 없고 염증을 잘 동반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붉은 발진이 생기는 ‘적색 땀띠’의 경우 심한 가려움증이 나타나는데요.

통풍이 잘 되지 않는 환경이나 자외선에 오래 노출될 경우 증상이 악화할 수 있습니다.

김제민 용인세브란스병원 피부과 교수는 “하부 표피 부위의 땀관이 막히면 주변 피부에 염증이 생겨 적색 땀띠가 발생할 수 있다”면서 “붉은색의 물집이 잡히고 가렵고 따가운 증상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땀띠를 증상이 비슷한 아토피 피부염과 혼동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아토피 피부염은 발병 부위가 갈라지거나 각질이 떨어지고 가려움이 더 심하게 느껴집니다.

보통 1주일 정도 지나면 증상이 개선되는 땀띠와 달리, 아토피 피부염은 유아기부터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땀띠는 특별한 치료가 없어도 피부를 시원하게 유지하면 대개 자연적으로 사라지는데요.

몸에 달라붙는 합성섬유 소재보다는, 피부 자극이 덜하고 통풍이 잘 되는 면 소재의 옷을 입는 게 좋습니다.

땀띠가 생긴 부위의 땀과 노폐물을 자주 씻어주는 것도 중요한데요.

하지만 비누를 자주 사용하면 오히려 염증을 일으킬 수 있어 하루에 여러 번 씻을 경우 가급적 물로만 닦는 게 좋습니다.

땀띠 부위를 긁으면 상처 부위로 세균이 침투해 2차 감염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가려워도 긁지 말아야 합니다.

김제민 교수는 “로션 형태의 보습제나 수딩젤은 땀띠가 생긴 부위의 수분 배출과 마찰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면서 “파우더 형태의 제품은 미세한 입자가 땀구멍을 막아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피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습니다.

땀띠가 나타난 뒤 1주일 정도 지났는데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거나 심해질 경우 병원을 찾는 게 좋습니다.

김 교수는 “땀띠로 인한 염증이나 가려움증이 심한 경우에는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거나 의사 처방을 받아 국소 스테로이드제를 바르면 증상 완화와 치료가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연합뉴스]

0
0
Share: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