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완성차 및 배터리 업계는 미국 정부의 관세 인상 조치에 대해 미래 불안 요소가 제거됐다는 측면에서 호재라는 반응이다. 저가의 중국산 제품이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미국 본토로 밀려 들어오는 최악의 상황을 피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배터리 부품과 소재 업체들의 경우 여전히 중국 생산 의존도가 높아 불확실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국내 완성차 업체는 이번 관세 인상 조치로 반사이익이 기대된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14일(현지 시간) 현행 25%인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율을 100%까지 올리기로 했다. 이번 관세 인상 조치가 현대차그룹의 올해 미국 판매 실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낮다. 현재 미국에서 판매되는 중국산 전기차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계열을 길게 놓고 보면 호재다. 값싼 전기차로 글로벌 전기차 시장을 교란해온 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덤핑 판매 전략이 미국에서는 통하기 힘들어진 까닭이다. 이번 관세 인상 조치는 사실상 중국산 전기차의 미국 시장 진입을 봉쇄하는 효과가 있다. 현대차그룹이 적어도 미국 시장에서는 저가의 중국산 전기차와의 경쟁을 피하면서 시장점유율을 안정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는 셈이다.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단기로는 미국에 판매 중인 중국 전기차가 없어 효과는 미미할 수 있다”면서 “중장기적으로는 미국에 중국의 값싼 자동차가 앞으로 들어오지 못한다는 점에서 이번 제재는 우리 기업에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LG에너지솔루션·SK온·삼성SDI 등 배터리 3사도 미국 정부의 조치를 호재로 판단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주로 현대차그룹과 미국·유럽 완성차 업체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중국 전기차 회사에 판매하는 배터리 물량이 거의 없다. 미국 정부가 중국산 배터리에 대해 관세율을 25%로 올려도 영향이 미미하다는 얘기다.

오히려 이번 관세 인상으로 배터리 3사가 중저가 배터리 시장에 대응할 시간을 벌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니켈·코발트·망간 등 삼원계 배터리가 주력인 국내 배터리사는 일러야 내년 말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양산이 가능하다”며 “이번 관세 인상 조치는 LFP 배터리가 주력인 중국 업체를 견제하는 효과가 있어 국내 업체들이 양산 시점까지 한숨을 돌릴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 생산 비중이 높은 배터리 부품 및 소재 업체들은 긴장하는 분위기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배터리 4대 소재(양극재·음극재·전해액·분리막)에 대한 중국의 생산 점유율은 2022년 기준 평균 71%로 집계됐다. 음극재의 경우 한국의 생산 비중은 6%에 불과하다. 중국이 미국의 관세 폭탄에 보복성 정책을 쏟아내면 공급망 불확실성이 커져 국내 배터리 소재사들의 피해가 커질 수 있는 지점이다.

소재에 들어가는 광물도 중국 의존도가 높다. 흑연은 2026년으로 관세 부과를 2년 유예했지만 그동안 대체재를 확보하지 못하면 타격은 불가피하다. 흑연은 중국이 전 세계 생산 점유율 78%를 차지하고 있다.

서울경제

0
0
Share: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