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20년내 인간사회 장악 시도 가능성…규제 기구 만들어야”

미래에 인공지능(AI)이 일자리를 대체하며 발생할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모든 국민에게 일정 소득을 지급하는 기본소득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AI 석학의 제안이 나왔다.

딥러닝 기술의 창시자이자 ‘AI의 대부’로도 불리는 제프리 힌턴 토론토대 교수는 19일 영국 BBC 방송 인터뷰에서 “AI가 많은 일상 속 직업들을 대체할 가능성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힌턴 교수는 “런던 정치계의 많은 이들로부터 이 문제에 대해 질문을 받는데, 나는 그들에게 기본소득은 매우 좋은 생각이라고 조언한다”며 모든 시민에게 일정한 양의 현금 소득을 지급하는 방향의 복지 개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AI가 생산성과 부를 증가시킬 것이지만 그 돈은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이 아니라 부유층에 돌아갈 것이며 “이는 사회에 매우 나쁜 일”이라고 설명했다.

힌턴 교수는 현재의 AI 열풍의 이론적 기반이 된 컴퓨터 신경망 및 딥러닝 기술의 선구자로 꼽힌다.

원래 구글에서 일을 하던 그는 지난해 규제되지 않은 AI의 위험성에 대해 더 자유롭게 논하기 위해 회사를 떠났다.

힌턴 교수는 이날 인터뷰에서 AI가 수년 내에 독자적인 사고 체계를 갖고 인간을 위협하며 사회를 장악하려 할 수 있다고도 경고했다.

그는 지난 몇 년간 각국 정부가 AI의 군사적 사용을 규제할 의지를 보이지 않는 가운데 빅테크들 사이에선 AI 상품 개발 경쟁이 가속화해 왔다면서 “안전에 대해 충분한 고려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내 추측은 앞으로 5∼20년 사이에 AI가 (주도권을) 장악하려 시도하는 문제를 직면할 가능성이 50% 정도 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AI는 인간의 생물학적 지능보다 훨씬 발달한 형태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이런 상황은 인간에게 “멸종 수준의 위협”이 될 것이라고 짚었다.

힌턴 교수는 이미 일부 알고리즘과 대규모 언어 모델에서는 AI가 일부러 이용자를 속이려 한 증거가 나오고 있다고도 주장했다.

이어 최근 세계 각국에서 늘고 있는 AI 무기의 사용은 이러한 위협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힌턴 교수는 이를 규제하기 위해 제네바 협약과 같은 국제 협약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면서 AI의 군사적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것이 더 나은 해결책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0
0
Share: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