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쩐의 전쟁’…미중 등 각국 보조금 풀어 반도체육성 사활

최상목 부총리, 반도체 수출 기업 간담회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가운데)이 지난 10일 반도체 장비 기업 에이치피에스피(HPSP)에서 열린 반도체 수출 기업 간담회에 참석해 반도체 업계 관계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최상목 부총리, 반도체 수출 기업 간담회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가운데)이 지난 10일 반도체 장비 기업 에이치피에스피(HPSP)에서 열린 반도체 수출 기업 간담회에 참석해 반도체 업계 관계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미국과 유럽연합(EU), 중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이 ‘미래 산업의 쌀’로 불리는 첨단 반도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천문학적 보조금과 지원안을 내놓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12일 미국·EU·인도·일본 등이 반도체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 과정에서 지금까지 투입을 확정한 보조금 규모가 807억 달러(약 110조원)에 가깝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중국 역시 반도체 산업 육성에 막대한 자금을 쏟아붓는 가운데, 한국도 최근 간접적인 재정 지원 방식으로 10조원 규모 지원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 미국, 반도체법 통해 공급망 재편 시도…삼성전자에도 64억 달러

미국은 반도체 설비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반도체법을 제정하고 세계적인 기업들의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

미국에 공장을 짓는 기업에 보조금으로 총 390억달러(약 53조원)를 지원하기로 했으며, 대출 및 대출 보증으로 750억 달러(약 102조원)를 추가 지원하고 최대 25%의 세액공제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64억달러·약 8조7천억원)를 비롯해 인텔(85억달러·약 11조6천억원), TSMC(66억달러·약 9조원), 마이크론(61억달러·약 8조3천억원) 등에 328억 달러(약 44조9천억원)의 보조금을 발표한 상태다.

미국은 이를 통해 중국과의 경쟁에 맞서는 것은 물론 자국 내 반도체 산업 공급망을 강화하고 대만·한국 등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며 반도체 주도권을 가져오겠다는 구상이다.

백악관은 삼성전자·SK하이닉스와 메모리반도체 부문에서 경쟁하는 마이크론에 대한 지원책 발표 이후 “강력한 첨단 메모리 반도체 생태계를 조성하고 20년 만에 처음으로 첨단 메모리 제조를 미국으로 다시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EU 역시 지난해 역내 반도체 생산역량 증대를 위한 반도체법 시행에 들어갔다.

반도체법은 현재 약 10%인 EU의 글로벌 반도체 시장 점유율을 2030년까지 20%로 2배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제조 역량을 확대하고 수입 의존도를 낮추겠다는 구상에 따른 것이다.

반도체법에 따르면 EU는 예산 33억 유로(약 4조8천억원)가 투입되는 이른바 ‘유럽 반도체 이니셔티브’를 통해 첨단기술의 산업화를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민간 자금 투자금까지 포함하면 총 430억 유로(약 63조5천억원)를 동원한다는 계획이다.

EU 집행위원회(EC)는 반도체 부문에 대한 민관 투자액 합계가 1천80억 달러(약 148조1천억원) 이상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 “중국, 반도체 산업에 194조원 투입 중” 추산

중국 정부가 구체적 보조금 규모를 공개하지 않는 만큼 추정치는 다양하지만, 중국이 반도체 산업에 쏟아붓는 자금 규모는 미국을 한참 뛰어넘을 것으로 보인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의 최근 추산에 따르면 중국은 반도체 산업에 1천420억 달러(약 194조7천억원) 이상의 지출을 진행 중이라는 것이다.

또 중국 정부는 SMIC와 화웨이 등 주요 기업에 대한 국가적 투자를 관장하기 위해 추가로 270억 달러(약 37조원) 규모의 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집권 이래 중국은 10∼30%에 불과한 반도체 자급률을 2025년까지 70%까지 높인다는 야심 찬 목표를 세운 상태다.

비효율과 부패 논란 속에서도 60조원대에 달하는 거대한 국가집적회로산업투자펀드(일명 대기금)를 필두로 각 지방정부, 국유기업, 민간기업이 가세해 수백조 원을 쏟아붓는 집요한 노력이 이어졌다.

이러한 지원책 속에 중국에는 등기자본금 규모 610억 달러(약 83조6천억원) 이상인 반도체 기업 숫자가 200개를 넘어섰다.

‘반도체 르네상스’를 꿈꾸는 일본은 2021년 6월 경제안보 관점에서 반도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했으며, 이후 일본 정부는 253억 달러(약 34조7천억원) 규모 자금을 확보한 상태다.

일본 정부는 구마모토현에 위치한 TSMC 제1·2공장에 최대 1조2천억엔(약 10조5천억원)가량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으며, 도요타·NTT 등 자국 대기업들이 협력해 만든 라피더스에도 9천200억엔(약 8조1천억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일본은 민관 부문을 합해 642억 달러(약 88조원) 규모 투자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2030년까지 국내 생산 반도체의 매출을 3배로 늘려 963억 달러(약 132조원)에 이르게 하겠다는 구상이다.

신흥국 정부 역시 반도체 산업 지원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인도는 지난 2월 타타그룹의 반도체 공장 건설 등에 정부 기금 100억 달러(약 13조7천억원)가 들어가는 투자안을 승인했다.

인도 정부는 올해 안에 첫 국산 반도체를 출시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원유 의존도를 낮추고 경제 구조를 다각화하려 하는 사우디아라비아 역시 반도체 산업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국부펀드(PIF)는 올해 내에 상당한 규모의 투자안을 내놓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 한국, 10조원 규모 프로그램…’반도체 생태계’ 육성

한국 정부는 반도체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책금융과 민간펀드 등을 통해 최소 10조원 규모의 지원 프로그램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10일 경기도 화성에 있는 한 반도체 장비업체서 개최한 반도체 수출기업 간담회에서다.

직접적으로 현금을 투입하는 방식은 아니지만, 반도체 분야에 초점을 맞춰 대규모 정책프로그램이 마련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를 통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등 반도체 전 분야의 설비투자와 연구개발(R&D)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겠다는 취지다.

최상목 부총리는 “간접적인 재정 지원 방식의 프로그램”이라며 “재정이 밑부분 리스크를 막아주고 민간과 정책금융이 같이 들어가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최 부총리는 “특히 소부장이나 취약한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분야의 R&D 및 설비투자를 지원할 수 있도록 그릇 하나를 만들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또 세액공제 비율을 올리고 반도체 분야 정부 지원 예산을 1조3천억원으로 작년의 2배 이상으로 늘렸다. 아울러 ▲ 인프라·투자 환경 ▲ 생태계 ▲ 초격차 기술 ▲ 인재를 4대 중점 과제로 정해 반도체 기업을 직·간접적으로 지원 중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비롯한 반도체 업계는 2047년까지 경기 남부 일대에 들어설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구축에만 622조원을 투자하기로 하는 등 글로벌 경쟁 격화에 대비해 천문학적 규모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연합뉴스>

0
0

TOP 10 NEWS TODAY

오늘 가장 많이 본 뉴스

LATEST TODAY NEWS

오늘의 최신 뉴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시니어 생활

오피니언 Hot Poll

청취자가 참여하는 뉴스, 당신의 선택은?

최신 뉴스

[속보]”파월 해임, 빨리 이뤄져야” 트럼프, 연준 의장에 ‘일격’

관세 정책 비판한 파월 의장에 대통령 격분..."늘 늦고 틀린 판단" 맹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방준비제도(Fed) 제롬 파월 의장을 향해 ...

스포티파이, 전 세계 서비스 장애… “해킹 아니다” 공식 부인

수만 명 이용자 불편, 글로벌 장애 발생 글로벌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스포티파이(Spotify)가 2025년 4월 16일,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서비스 장애를 ...

일본-미국 무역 협상, 관세 논의 속 ‘큰 진전’ 보여

16일 워싱턴에서 열린 일본과 미국 간 무역 협상에서 양국이 관세 문제를 중심으로 의미 있는 진전을 이뤘다고 전해졌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

하버드 케네디스쿨 학장 자문위원, 하마스 연루 소송 후 사임

"팔레스타인계 억만장자 바샤르 마스리, '10·7 테러' 희생자 유가족들에게 소송당해" 하버드대학교 케네디스쿨 학장 자문위원회(Dean's Council) 위원이 하마스(Hamas) 지원 혐의로 미국에서 소송을 ...

트럼프 정부, ‘눈엣가시’ 뉴욕검찰총장 기소  하나?

주택금융청 "대출 사기 의혹" 법무부에 수사 의뢰 미국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적 중 한명으로 꼽히는 러티샤 제임스 뉴욕주 검찰총장에 ...

개그맨 이진호, 불법도박 혐의로 경찰 수사 후 검찰 송치

불법 도박을 한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아온 개그맨 이진호(39)가 검찰에 넘겨졌다. 서울 강남경찰서는 이씨를 도박 혐의로 지난 15일 송치했다고 17일 ...

위험한 LA 카운티 차량 추격전 끝은..

차량 추격 끝에 차량 전복, 용의자 병원 이송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에서 또 한 번의 위험한 차량 추격전이 발생해 차량이 완전히 뒤집히는 ...

트럼프 행정부, 노숙자 정책 사령탑 해체 수순… “법적 충돌” 논란 확산

"연방 노숙자 정책 컨트롤타워 붕괴"... 사상 최악의 노숙자 위기 속 정책 공백 우려 트럼프 대통령의 연방기관 축소 행정명령에 따라 미국 ...

이정후, 시즌 10호 2루타…타율 8위·장타율도 6위 ‘펄펄’

필라델피아 상대 5타수 2안타 2타점…팀도 11-4로 대승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외야수 이정후(26)가 MLB 전체를 통틀어 2025시즌 가장 먼저 2루타 ...

“사랑하지만 지켜줄 수 없어”…종잡을 수 없는 트럼프의 일본관

"부동산업자 시절부터 일본에 이중적 시각…미국을 교묘하게 속였다고 생각" 90일간의 상호관세 유예기간 초반에 미국과 마주한 일본의 협상 진행 상황에 각국이 촉각을 ...

텍사스 하원, 77억 달러 규모의 학교 지원 법안 승인..

"교사 연봉 최대 7천 달러 인상, 특수교육에 2조원 투입" 텍사스주 하원이 77억 달러(약 10조 6천억 원) 규모의 대규모 교육 예산안을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외계 행성 K2-18b에서 생명 신호 포착 가능성

'하이시언' 행성 K2-18b, 생명체 존재 가능성의 새로운 무대 최근 NASA의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 외계 행성 K2-18b의 대기에서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

[속보]LAHSA 거액의 합의금 지급 기록 공개 거부 파문..

"세금으로 지급한 합의금인데 이유도 알 수 없다니" 시민단체·전문가 강력 비판 로스앤젤레스 노숙자 서비스 당국(LAHSA)이 고위 임원들의 부당 해고 및 내부 ...

밴너이스 몰에서 총기 위협 사건 발생.. 범인 현장 검거

"남성이 총을 겨눴다" 911 신고에 현장 통제... 2025년 4월 16일(수) 오후 4시 31분경, 밴누이스 지역 15700 Vanowen St에서 한 남성이 ...

트럼프 “하버드는 조크”…보조금·면세권 박탈 현실화 수순

국토안보부 "하버드 안보 위협…38억 원 규모 보조금 취소" "국세청, 하버드 면세지위 박탈 곧 최종 결정"…시행되면 대학 재정 큰 타격 도널드 ...

재외공관 비자심사 부실… LA총영사관도 적발

▶ 감사원 운영실태 감사▶ 통합사증정보시스템 미비 ▶ 신청인 정보 입력오류 등▶ LA문화원 회계상 실수도 이번 감사에서 LA 총영사관 등의 비자심사 ...

IRS 정보공유에 가주 불체자 180만명 ‘추방 공포’

▶ ICE 이민단속에 활용돼 “협정 합법성 조사해야” 연방 국세청(IRS)이 불법체류자들의 개인 납세정보를 연방 이민세관단속국(ICE)과 공유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새로운 협정을 ...

발 부상 손흥민, UEL 8강 프랑크푸르트전도 결장…원정 불참

발을 다친 손흥민(토트넘 홋스퍼)이 결국 유럽축구연맹(UEFA) 유로파리그(UEL) 8강 2차전에 뛰지 못하게 됐다. 토트넘은 17일(이하 한국시간) 구단 홈페이지에 "안지 포스테코글루 감독이 ...

MLB 탬파베이 김하성, 5월 말은 돼야 복귀 가능성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탬파베이 레이스의 내야수 김하성(29)의 복귀가 5월 말은 돼야 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탬파베이 구단을 취재하는 라이언 배스 기자는 ...

“정상급 아이콘” 블랙핑크 로제, 타임지 ‘영향력 있는 100인’ 등극

글로벌 히트곡 '아파트'(APT.)로 2024년 최고의 활약을 펼친 걸그룹 블랙핑크 멤버 로제가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선정됐다. 타임지는 ...

법원, 뉴진스 독자활동 금지 유지…즉시항고해 2심서 재공방

어도어 손 들어준 가처분 이어 불복절차 이의신청도 기각…법원 “가처분 결정 정당”뉴진스측이 즉시항고해 고법으로 넘어가… ‘기획사 지위·독자활동 금지’ 2라운드로 뉴진스 다섯 ...

경찰 출석 쯔양, 돌연 조사 거부… “피해자 보호 의지 없어”

‘가세연 김세의 고소’ 조사받다 40여분만에 나와…”기피신청 검토” 먹방 유튜버 쯔양이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가세연) 대표 김세의를 협박 강요 등 혐의로 고소한 ...

추성훈 “집 공개로 ♥야노시호 엄청 열받아, 화장실이 마음 편해”[라디오스타]

이종격투기선수 추성훈이 일본인 모델 아내 야노 시호와의 일상을 언급했다. 16일 방송된 MBC 예능 프로그램 '라디오스타'에는 이종격투기선수 추성훈, 배우 정석용, 코미디언 ...

[속보]발레로 정유시설 폐쇄 결정, 서부 3개주 연료공급 비상

발레로 베니시아 정유소 폐쇄 결정에 애리조나·네바다까지 가격 급등 우려 켈리포니아 주정부의 새롭게 강화된 규제 법안 통과가 이유 캘리포니아의 주요 정유시설인 ...

트럼프..IRS에 하버드대 면세 지위 박탈 공식 요청

트럼프 행정부에 반기 든 하버드에 비과세 지위 박탈로 보복 국세청 "조만간 결정내릴것"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 대학교가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문제를 ...

딥시크 때리기 본격화…”AI칩 등 기술 구매 차단 추진”

하원 조사 보고서 발표…NYT "미 정부·의회, 엔비디아도 함께 겨냥"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 미국 의회가 함께 중국 인공지능(AI) 업체 딥시크에 ...

줌(Zoom) 서비스 2시간 만에 복구… 직장인·학생 수만 명 환호와 절망했다

전국 업무·교육 활동 마비... 4만 4천여 건 장애 신고기업 통신망까지 영향... 교육 분야에도 차질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이 16일 전국적으로 장애를 ...

할리우드도 현장 촬영 감소한다… 영화·드라마 산업 타격

필름LA 보고서, 올 첫 분기 현장 촬영 22.4% 감소업계 관계자 "세금 인센티브 부족" 지적 영화 산업 관계자들은 LA가 지금처럼 영화 ...

LA 카운티, 불법 레이싱 벌금 두 배로 인상 승인

슈퍼바이저 위원회, 3-0으로 모션 승인소셜미디어 홍보 규제 방안도 포함 LA 카운티 슈퍼바이저 위원회가 16일 불법 거리 레이싱과 사이드쇼에 대한 벌금을 ...

LA 카운티, 산불 이후 건강 모니터링 온라인 대시보드 출시

공중보건국, 대기·토양·수질·개인 건강 데이터 제공1월 산불 영향 지역 환경 모니터링 결과 확인 가능 LA 카운티 공중보건국이 올 1월 산불 이후 ...

경제 • IT

칼럼 • 오피니언

국제

한국

LIFESTYLE

K-NOW

K-NEWS

K-B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