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체중그룹 아밀로이드 단백질 많이 쌓여
건강한 비만 그룹, 인지기능 저하 가장 느려
마른 사람보다, 체중이 나가더라도 대사증후군이 없는 ‘건강한 비만’인 사람이 알츠하이머병(치매)을 앓을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에도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연관기사]뇌를 망가뜨리는 나쁜 단백질은 왜 생기고 무엇이 만드나요?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뇌에 비정상적으로 쌓이면 주로 알츠하이머병이 발생합니다.
-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뇌세포 사이에 축적되어 플라크를 형성합니다.
- 아밀로이드 축적은 점진적으로 일어나며, 증상이 나타나기 수십 년 전부터 시작될 수 있습니다.
- 아밀로이드 외에도 타우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축적도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원인입니다.
강성훈 고대구로병원 신경과 교수와 서상원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가 참여한 공동연구진은 이 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11일 발표했습니다.
연구진은 치매가 없는 45세 이상 한국인 1,736명을 체질량지수(BMI)에 따라 저체중(18.5 미만), 정상, 비만그룹(25 이상)으로 구분했다. 그런 뒤 각 그룹을 대사증후군 여부에 따라 대사건강그룹과 대사증후군그룹으로 나눠 아밀로이드 양전자방출단층촬영, 뇌 자기공명영상(MRI), 인지기능검사 등을 진행했습니다.
대사증후군은 각종 성인병이 복부 비만과 함께 발생하는 질환을 말하는데 연구진은 대사건강그룹을 허리둘레 기준을 제외한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고혈압‧높은 공복혈당‧고중성지방‧낮은 고밀도 콜레스테롤)을 1개 이하로 가진 경우로 정의했습니다.
그 결과 알츠하이머병 원인물질인 아밀로이드 축적 위험도를 나타내는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양성 비율이 저체중 그룹(73.9%)에서 높고, 비만 그룹(37.0%)에선 오히려 낮게 나왔습니다. 비만 그룹 중에서도 희비가 엇갈려 대사건강집단에선 아밀로이드 단백질 양성 비율이 29.6%인 반면, 그렇지 않은 그룹에선 42.5%로 나타났습니다. 비만이 아밀로이드 축적을 예방하고, 특히 건강한 비만일 때 효과가 크다는 뜻입니다.
실제 비만이면서 대사건강그룹에 속한 이들은 기억을 저장하는 해마 부위의 용적(부피)이 두꺼웠고 장기적으로 추적 관찰했을 때 인지기능 저하 속도가 가장 느렸습니다. 강 교수는 “대사 건강을 유지하고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면 알츠하이머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몸무게를 급격히 뺐다가 요요현상을 겪는 등 체중 변화가 잦은 것도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앞서 지난달 류지원 분당서울대병원 입원전담진료센터 교수와 윤형진 서울대병원 의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체중 변동 폭이 3% 이상인 체중 사이클을 경험한 환자의 경우 치매 발생 위험도가 정상군(3% 미만)보다 1.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변동 폭이 10% 이상일 때는 치매 발생 위험도가 2배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1~2년 간격으로 5회 이상 건강검진을 받은 환자를 10년간 추적 관찰한 데이터를 활용, 체중 사이클 변동 폭을 네 구간(3‧5‧7‧10% 이상)으로 나눠 살핀 결과 입니다.
건강한 뚱뚱한 몸매가 치매를 예방하는데 더 유리 하다는것입니다. 시니어들은 몸매를 젊은이들처럼 날씬하게 유지하려고 하는것보다 대사건강을 유지한 약간 살찐 체형이 더 이상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