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성별·혈압·흡연여부·비만도 등을 종합해 계산한 ‘임상위험도’가 높은 사람들은 저위험군보다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3.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유전적인 위험도가 더해지면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은 5배까지 뛰었다.
질병관리청은 이런 내용의 ‘한국인 맞춤형 심혈관질환 위험도 예측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프론티어스 인 제네틱스(Frontiers in Genetics)’에 발표했다고 9일 밝혔다.
질병청 국립보건연구원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중 지역사회 코호트(동일집단) 7천61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임상 자료와 유전 정보, 17년간의 추적 조사 결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나이·성별·수축기혈압·당뇨·콜레스테롤·흡연여부 등의 요인을 이용해 향후 10년간의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도를 계산한 ‘임상 위험도’가 7.5% 이상인 고위험군은 위험도가 7.5% 미만인 저위험군보다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3.6배 높았다.
질환에 관련된 유전요인을 합해 점수화한 ‘유전적 위험도’ 수치가 높은 상위 20%의 사람들은 하위 20%에 비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약 1.5배 증가했다.
질병청은 임상 위험도가 7.5% 미만인 임상 저위험군도 유전적 위험도가 높아지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최대 1.5배까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유전적 위험도와 임상 위험도가 모두 높은 고위험군의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은 양쪽 수치가 모두 낮은 그룹의 5배였다.
질병청은 “미국심장학회에서는 임상 정보를 이용해 심혈관질환 발병 예측 도구를 개발했고 이를 통해 선제적 예방을 하도록 권고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한국인 맞춤형’으로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을 예측하고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