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미국, 그리고 내일의 미국, 가면 아래 숨겨진 균열

한때 세계 최강국이자 민주주의의 상징이었던 미국이 지금, 마치 역사의 경고를 무시한 채 무너져가는 거대한 제국처럼 보인다.

겉으로는 여전히 강대국의 위용을 자랑하지만, 내부를 들여다보면 심각한 균열이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

미국 정치의 중심은 이제 공공의 이익이 아니라, 소수의 부유층과 권력자들의 사리사욕이 지배하고 있다.

대통령 일가는 자신들의 재산을 불리는 데 혈안이 되어 있고, 내각에는 억만장자들이 자리 잡아 스스로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법과 정책을 밀어붙이고 있다.

‘작은 정부’라는 명분으로 예산을 줄이고, 서민들에게 돌아갈 복지와 공공서비스를 축소하는 동안, 부자들에게는 막대한 감세 혜택이 주어진다.

결국 미국 경제의 중심이었던 중산층이 흔들리고, 빈부격차는 걷잡을 수 없이 벌어지고 있다.

한편, 이 모든 혼란을 덮어버리기 위해 정치권은 끊임없이 대중의 주의를 딴 곳으로 돌리는 전략을 쓴다.

불법 이민자 문제를 부풀리고, 문화적 논쟁을 정치적 무기로 삼아 국민을 분열시키는 방식이다.

‘진짜 문제’는 감춰진 채, 가짜 적을 만들어 사람들의 분노를 유도하는 것이다. 대중은 고통받지만, 정작 그들을 이용하는 권력자들은 웃고 있다.

그러나, 이런 시스템이 과연 지속 가능할까?


역사는 말한다. 부의 불균형이 극에 달하고, 대중이 더 이상 희망을 찾을 수 없을 때, 체제는 반드시 균열을 일으킨다고.

지금의 미국이 가고 있는 길은, 과거 로마제국과 다르지 않다. 강력한 군사력과 경제력을 자랑하던 로마도 내부의 부패와 불평등이 쌓이면서 결국 쇠퇴했다.

마찬가지로, 현재 미국의 정치와 경제 구조는 자본과 권력이 소수에게 집중되는 ‘과두정(寡頭政)’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경제적으로, 미국은 더 이상 과거처럼 모든 계층이 기회를 가질 수 있는 나라가 아니다. 중산층이 붕괴하면서 소비력이 약해지고, 빈부격차가 심해질수록 경제 성장의 동력도 점차 사라질 것이다.

내부 갈등과 정치적 극단화는 투자 불안정을 초래하고, 미국의 국제적 신뢰도는 하락할 것이다. 한때 ‘아메리칸 드림’의 상징이었던 이 나라는, 이제 점점 불평등과 사회적 갈등의 상징으로 변해가고 있다.

민주당의 실책과 무능

더욱 우려스러운 점은, 이러한 상황을 견제해야 할 민주당 역시 심각한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는 것이다.

겉으로는 인권, 평등, 정의를 앞세우지만, 정작 그것들은 집권을 위한 정치적 도구로만 사용되고 있다.

이민 문제를 정치적 카드로 활용하며 ‘다 같이 평등해져야 한다’는 명분에 몰두한 나머지, 정작 트럼프와 소수 부유층, 테크 재벌들과 싸울 힘도 전략도 부족한 상황이다.

결과적으로 민심까지 등을 돌리게 만드는 어처구니없는 실책을 반복하고 있다.

한때 클린턴이나 오바마 같은 강력한 지도자들이 존재했지만, 지금 민주당에는 그만한 인물이 보이지 않는다.

이대로 가면, 트럼프와 소수 재벌의 합작을 막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 보인다.

다가올 미국: 두 가지 미래

미국은 지금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 이대로 가면 두 가지 길이 보인다.

  1. 변화와 개혁의 길
    • 부자들과 대기업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도입하고,
    • 중산층과 서민을 위한 복지 정책을 강화하며,
    • 정경유착을 끊고, 공정한 선거와 정치 시스템을 회복한다면,
    • 미국은 다시 번영과 균형을 찾을 수 있다.
  2. 붕괴와 혼란의 길
    • 빈부격차가 더욱 극심해지고,
    • 정치적 분열이 심화되면서 내전 수준의 사회적 갈등이 발생하고,
    • 경제적 불안정이 결국 새로운 대공황을 불러온다면,
    • 미국은 더 이상 세계 최강국이 아니라, 또 하나의 몰락한 제국이 될 것이다.

지금의 미국은 후자의 길을 향해 가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아직 늦지 않았다.

국민이 깨어나고, 더 이상 기만적인 정치 선동에 휘둘리지 않으며, 진짜 문제를 직시한다면, 미국은 여전히 스스로를 바로잡을 힘을 가지고 있다.

문제는, 그 변화를 맞이할 용기가 있는가 하는 것이다.

미국의 운명은 더 이상 정치인들의 손에만 달려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을 지켜보는 국민들의 선택이 역사의 방향을 결정할 것이다.

1
0

TOP 10 NEWS TODAY

오늘 가장 많이 본 뉴스

LATEST TODAY NEWS

오늘의 최신 뉴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시니어 생활

[시니어 라이프] 시니어를 위한 스마트폰 대모험

“손 안의 세상을 정복하세요!” 목차 디지털 세계로의 초대장 안녕하세요, 용감한 모험가님! 이 안내서는 스마트폰이라는 신비한 마법 세계를 탐험하는 시니어 영웅님들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제 소셜 시큐리티,

오피니언 Hot Poll

청취자가 참여하는 뉴스, 당신의 선택은?

최신 뉴스

건강 갉아먹는 주범… 스트레스도 전염된다

스트레스가 옮는 것을 피하는 방법 “원래 스트레스는 포식자 피해 생존 목적 압도될 때 물러서고, 즐거운 활동을 하라” 현재 세계 곳곳에서 ...

미국관광업계 적신호, 트럼프 취임 후 2달만에 관광객 폭락

엘에이 올림픽 등 각종 국제 대회도 걱정 미국 관광산업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불과 2개월 만에 ...

방탄소년단 정국, 스크린도 장악..2024 한국영화 해외 수출작 흥행 ‘톱2’

다큐 ‘정국: 아이 엠 스틸 방탄소년단(BTS) 정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정국: 아이 엠 스틸'이 초특급 글로벌 흥행 성과를 입증했다. 정국 다큐멘터리 ...

첨단미래상 선보일 오사카엑스포 대장정 시작…흥행부진 우려도

6개월간 유메시마서 열려… ‘그랜드링’ 주변 전시관 84개 ‘거대 미디어 파사드’ 한국관…공사 지연·메탄가스 등 과제 올림픽, 월드컵과 함께 지구촌 3대 메가 ...

무기가 된 비관세 장벽, 중국의 ‘그림자 무역전쟁’ 전략

트럼프 핵심 지지층 겨냥한 중국의 새로운 경제 보복 수단 드러나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 분쟁에서 관세를 넘어선 새로운 전술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

피고인석 앉은 윤석열 전 대통령 모습 촬영 안된다…재판부 불허에 민주 “특혜”

이명박·박근혜 때는 허가…민주 “절차적 특혜 주어지면 실체적 특혜도”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첫 정식 형사재판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피고인석에 앉은 ...

한국인, 원형탈모 유독 많은 이유?… 비밀은 면역세포에

아시아인 면역 다양성 규명한 지도 최초 완성 한국 연구진이 아시아인의 면역 다양성을 밝힌 지도를 세계 최초로 완성했다. 한국은 물론 싱가포르, ...

‘결혼’ 은가은 “♥박현호=복덩이..처음부터 내 남편 같았다”

연상연하 가수 부부 탄생..은가은·박현호, 12일(한국시간) 웨딩마치 가수 은가은(38·김지은)이 연인 박현호(33)와 결혼을 앞둔 설렘을 전했다. "이제 곧 유부녀의 길로 들어선다"는 웃음 ...

보복 편지·추가 녹취록? ‘김준수 협박’ BJ, 진정성 의심되는 반성문

구속 기소된 여성 BJ 보복 협박 관련 추가 기소 정황이 공개 가수 겸 뮤지컬배우 김준수를 협박해 금품을 갈취한 혐의로 구속 ...

박봄 “필터 안 써요♥” 억울했나..

카메라 어플 의혹 MAX에 ‘즉시 해명’ 그룹 2NE1(투애니원) 박봄이 '카메라 어플 필터설'에 억울함을 드러냈다. 박봄은 11일(한국시간) 자신의 계정에 "오늘 콘서트 ...

[속보]트럼프, 캘리포니아 국유림 전역 벌목 개방 명령

트럼프 행정부, 미국 국유림 '무분별한 벌목' 확대... 환경과 경제 사이 깊어지는 균열 "환경 규제 철폐로 1억 에이커 이상 벌목 가능 ...

테슬라 주가 4일 연속 폭락에 열받은 머스크, 나바로 맹공

머스크 분노 폭발, "트럼프 측근은 벽돌보다 멍청하다" 독설 테슬라 주가가 심각한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일론 머스크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

미국, 중국과의 무역전쟁에서 승리 가능하나…

"미국 관세정책 실효성 의문" 자유무역은 양측 모두에게 이익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현재 미국과 중국 간 고조되는 관세 전쟁은 양국 모두에 ...

중국 반도체 기업들의 무관심한 반응, “잃을 것 없는 미국 관세 폭탄”

기존 제재로 단절된 미국 시장, 중국 하이테크 기업들은 내수 시장 중심 전략으로 이미 생존 경로 확보 미국이 최근 중국 제품에 ...

아이폰 구사일생..전자제품 및 반도체 ‘상호주의 관세’ 면제 결정.. 팀쿡의 마술?

애플·삼성 등 대기업 혜택... 휴대폰·노트북·반도체 장비 등 소비자 가격 충격 완화 기대 이번에도 팀쿡의 마술이 통했나? 트럼프 행정부가 휴대폰, 컴퓨터 ...

치열해져가는 가주 주지사 선거, 스티븐 클루벡 “망가진 주” ..

전 다이아몬드 리조트 CEO와 카말라 해리스 전 부통령 출마설로 2026년 선거 관심 고조 캘리포니아 주지사 선거에 출마하는 후보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

“트럼프 정부, 연방빈곤선 계산팀 해체로 8천만 미국인 복지 위기”

의도적 복지 축소? 빈곤 기준 설정 부서 폐지로 수급 자격 재평가 우려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연방 빈곤선을 결정하는 핵심 부서를 ...

트럼프 행정부, 캘리포니아 탄소거래제 무력화 시도

"미국 에너지 보호" 명분으로 주정부 환경 정책 압박... 뉴섬 주지사 "강력 대응" 천명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캘리포니아의 대표적 환경 정책인 ...

관세 폭탄에 ‘정답은 창고형 매장’.. 코스코, 샘스클럽 호황

코스트코·샘스클럽 멤버십 동시 가입도 증가..."연간 180달러 지출해도 이득" 미국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 이후 소비자들이 가격 상승을 피하기 위해 ...

국민의힘 주자들 앞다퉈 오세훈에 ‘러브콜’..

"오세훈의 '약자와의 동행' 계승하겠다" 오세훈 서울시장의 급작스러운 불출마 선언 이후 당내 대선주자들은 앞다퉈 오 시장이 내건 '약자와의 동행'을 계승하겠다고 밝혔다 ...

트럼프 특사 “2차대전후 베를린처럼 우크라 분할하자”

영국 언론 인터뷰서 "전선에 DMZ 조성…서는 영·프가, 동은 러가 관할" 러 영토점령 인정·우크라 전후 패망국 비유에 논란…켈로그 "진의 왜곡" 해명 ...

“OUTRAGEOUS: LA City Council Unanimously Votes to Raid Citizens’ Wallets with 130% Garbage Fee Hike”

"Salaries Stay the Same, Garbage Fees Double" - Brave or Just Plain Ignorant? In a shocking display of tone-deaf governance, ...

예산 펑펑쓰다 쓸돈 없으니 모여서 만장일치로 쓰레기 수수료 130% 인상결정

"월급은 제자리, 쓰레기값은 두 배" , 용감한건지 무식한건지? 시의회 만장일치로 폭탄 결정, 주민들 반발 예상.. 시민이 ATM 머신? 15명 의원중 ...

“시민의 목소리를 높이다, 버니 샌더스, AOC와 함께 LA에서 정치 페스티벌 개최”

음악과 정치가 함께하는 '올리가르키와의 싸움' 집회, 유명 음악가들 대거 참여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이 트럼프 행정부 비판 연설 투어의 일환으로 이번 ...

이정후, 양키 스타디움에서 ‘쾅’…MLB “뉴욕을 한 입에…

'꿈의 구장' 뉴욕 양키 스타디움에서 터진 이정후(26·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시즌 첫 홈런에 반응도 뜨거웠다.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엑스(X) 공식 계정은 이정후가 12일(한국시간) ...

일론 머스크와 트럼프 대통령 허니문은 끝났나?

"나는 일론이 필요 없다"... 트럼프 발언에 비친 불편한 동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나는 일론이 필요 없다"고 직접 언급하며 일론 머스크와의 ...

트럼프 “일부 예외 있을 수 있지만 국가별 상호관세 10%가 하한”

재선 후 첫 정기 건강검진 뒤 "몸 상태 좋다…인지능력테스트 다 맞혀" 국채엔 "문제 빨리 해결됐다"…"달러는 기축통화, 항상 그럴 것" 도널드 ...

Child Health Crisis: Representative Dave Min Strongly Opposes Medicaid Budget Cuts

Over 136,000 Orange County Residents at Risk as Medical Experts Warn: This Is About Children's Lives, Not Just Budget Cuts ...

남가주 ‘팟홀 대란’

▶ 우기 지나 보수 급증▶ LA서 1분기 4천여 건 ▶ 타이어 등 차량 피해▶ 평균 수리비 600달러 올 초 LA ...

‘이 집 사면 자녀 명문대 합격’… 70만 달러 넘게 팔린 매물

전 주인 자녀들 명문대 입학 사실 홍보 주택 시세 높지만 명문대 입학과 별개 미국인들에게 내 집 마련과 함께 이루고 싶은 ...

경제 • IT

칼럼 • 오피니언

국제

한국

LIFESTYLE

K-NOW

K-NEWS

K-BITES